Passive-interface : 해당 인터페이스로 정보가 나가는 것을 막는다.
즉, 주는 정보가 없으며 정보를 받기만 하게 된다.
사용 이유
1. 네트워크의 안정성
2. 리소스 절약
3. 인접성 문제 방지
4. 라우팅 테이블의 복잡성 감소
명령어
conf t
router rip
#해당 인터페이스 passive
passive-interface [인터페이스명]
#전체 인터페이스 passive
passive-interface default
위와 같이 rip를 통해 라우팅 경로 정보를 서로 업데이트 하고 있을 때 R1의 s1/0에서 passive-interface s1/0을 할 경우 아래와 같이 R2에서 R1의 루프백 인터페이스 정보인 1.1.10.0이 30초가 지남에도 불구하고 업데이트가 되지 않으며 삭제 또한 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번에는 R3에 passive-interface default를 걸고 no passive-interface s1/1을 해서 s1/1포트만 passive를 해제해두었다.
마찬가지로 R4에서는 R3에서 주는 모든 정보가 passibly down된것을 볼 수 있다.
'네트워크 및 서버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ffset-List (0) | 2024.09.13 |
---|---|
Passive-interface 실습 (0) | 2024.09.13 |
RIP 상세 (0) | 2024.09.10 |
Distanse Vector Routing Protocol Looping 방지시스템 (0) | 2024.09.09 |
RIP (0) | 202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