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an 정보 : vlan.dat에 저장됨
trunk interface로 vlan간의 통신.
vlan이 설정 될 경우 그 정보(vlan.bat 파일)를 trunk포트로 전송.
vtp의 동작모드는 총 세가지
S : Server : vlan 정보를 생성, 삭제, 수정, 전달이 가능. 트렁크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이웃 스위치로 전달.
C : Client : VTP서버가 준 정보를 받아 동기화시킴. Vlan 생성, 삭제, 수정이 불가. 단, 전달은 가능
서버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주긴 하지만 자신의 정보이므로 동기화는 하지 않음
T : Transparent(투명한) : VLAN정보를 서버처럼 생성, 삭제, 수정이 가능. 그러나 이렇게 생성된 정보를 외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동기화 하지 않음. 독립된 서버. 단, 전달받을경우 전달은 해줌.
직접 연결된 스위치의 경우 서로의 정보를 알고있음. 따라서 만약 vlan이 직접연결된 스위치에 없으면 전달하지 않는다. 이를 pruning이라고 하며 특이하게도 꺼져있어도 동작이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Transparent 스위치에 직접 vlan을 추가해줄 필요가 있다.
vtp 설정
# 서버 스위치
vlan database
vtp domain [도메인 이름(domain.com)] # vtp정보가 전달되어야할 범위(영역) --> 전달받을 모든곳에서 설정
vtp password [비밀번호] # vtp도메인 패스워드. 마찬가지로 모든곳에 설정해야함.
#우선 도메인을 설정한뒤 VLAN을 설정해줘야 동기화가 잘됨
vtp server #vtp서버모드 확인
exit
# 클라이언트 스위치
vlan database
vtp domain [도메인 이름(domain.com)]
vtp password [비밀번호]
vtp client
exit
# Transparent 스위치
vlan database
vtp domain [도메인 이름(domain.com)]
vtp password [비밀번호]
vtp transparent
exit
# 이후 Trunk인터페이스를 모든 스위치에서 설정해주어야함.
'네트워크 및 서버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P(2) (0) | 2024.08.01 |
---|---|
STP(1) (0) | 2024.07.31 |
VTP 실습 (0) | 2024.07.30 |
Inter VLAN Routing(라우터 서브 인터페이스) (0) | 2024.07.29 |
Inter VLAN Routing 실습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