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집합) : {} : 수학의 집합을 연산하기 위해 만들어짐. -->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 항목정리에 용이 --> iterable하지 않음. 단, 숫자의 경우 자동정렬됨(ASC) --> mutable하다. 단, index번호가 없어 접근이 불가능해 수정이 불가능하다. add() : 집합에 원소를 추가 remove() : 집합의 원소를 제거 update() : 집합에 여러개 원소를 추가 # set특성a = {1, 2, 3, 1, 1, 2, 1, 3, 4, 5, 8, 8, 4, 7, 3, 5, 6}print(a) #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숫자가 자동 정렬됨.(ASC)#{1, 2, 3, 4, 5, 6, 7, 8}print(a[1]) # 에러 발생 --> iterable하지 않음. ..
튜플 --> tuple : () 1개 이상의 데이터가 존재할 때 파이썬은 이 자료를 튜플타입으로 정의한다. 튜플은 데이터의 전달을 목적으로함. 메서드가 호출되었을때 하나의 값만을 반환 --> 튜플을 통해 반환값의 데이터 수를 늘릴 수 있음. iterable, immutable # 튜플 예시a = 1,2 # 파이썬은 1개 이상의 데이터가 하나의 변수에 저장되는 경우 튜플로 프로모션된다.print(a)print(type(a))b = 1,print(b)print(type(b)) #참조형 데이터타입은 null 포인트(주소가 null)를 인정한다.# (1, 2)# # (1,)# # 튜플 특성a = (1,2,3) print(a[1]) # 2 출력 --> iterablea[1] = 9 # ty..
list() : 대상을 list타입으로 캐스팅 파이썬의 기본 데이터타입은 list. #list()a="12345"list(a)#['1', '2', '3', '4', '5']리스트타입 특성 : iterable, mutable 배열과의 차이점 1. 요소의 개수를 변경(삽입, 삭제, 수정)이 가능하다. 2. 리스트 안의 요소의 데이터타입이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iterablea=['1', '2', '3', '4', '5']print(a[3]) # indexing 가능 --> iterablea[3] = 9 # list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 immutable하지 않다. --> mutable하다. a = []print(a)print(type(a)) # 참조형 데이터타입은 ..
input() : 입력값을 화면에 출력하며 표준입력장치의 값을 문자열(str)로 받아들임 1. 입력값을 화면에 출력 2. 표준입력장치 값을 받아들임 3. 입력값의 주소를 저장. Ex)name = input("You are name is?")print(id(name)) print() : 출력 print("%s"%) : 포멧스트링 정수 정수 Ex)num1 = input("Number : ")num2 = input("Number : ")#문자열 변수 초기화print(num1+num2) #문자열이 연결됨print(int(num1)+int(num2)) #int의 합 num1 = int(input("Number : "))print("%s"%(num1)) #포멧 스트링으로 데이터의 출력 데이터타입을 변경print(..